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

아이의 언어 발달, 초어는 언제? 우리 아이 언어 발달, 초어를 말하는 시기는? 초어의 시작 아이들은 보통 9~12개월 사이에 엄마, 아빠 등의 초어를 말하기 시작합니다. 초어란 단어의 뜻을 알고 처음으로 말하는 단어를 의미합니다. 이 시기에 아이들은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많은 언어적 내용과 정보를 표현하는 능력이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아이의 언어 이해 아이가 하나의 단어를 말한다는 것은 그가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하나일 뿐, 아이가 이해하고 있는 단어들은 훨씬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9~12개월 아이는 '하지 마'라는 말을 직접 말하지는 못하지만, 부모가 '하지 마'라고 하면 그에 따라 행동을 멈춥니다. 이는 아이가 이해하고 있는 단어가 상당히 많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언어 자극 주기 아이가 말을 할 때는 가장 자주 듣.. 2024. 2. 18.
임신 0~3주, 엄마와 아빠가 알아야 할 것 임신 0~3주, 엄마와 아빠가 알아야 할 것들 입니다. 개요 임신 0~3주는 임신 사실을 가장 알아차리기 어려운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수정란이 자궁 내막에 착상하여 세포 분열을 시작하며, 아직 아기집이 생기기 전입니다. 이 시기의 태아는 아직 사람의 형태를 갖추지 않았습니다. 수정란은 왕성한 분열을 하여 길이 0.4~0.5cm, 무게 1g 정도의 배아로 모습을 나타내며, 배아가 영양을 공급받는 태반이 발달합니다. 물고기와 같은 긴 꼬리를 갖고 있고 4개의 아가미가 있어 아직은 귀여운 아가라고 하기에는 미흡합니다. 그래서 아직까지는 태아를 태아로 부르지 않고 배아(胚芽)로 구별해서 부르며 3개월(임신 9주) 후가 되어야 비로소 태아(胎兒)라고 합니다. 모체의 변화 자궁의 크기가 임신 전과 비슷하게 자기.. 2024. 2. 17.
아이의 건강을 위해 알아야 할 '장염' 이야기 아이의 건강을 위해 알아야 할 '장염'에 대한 모든 것 아이들에게 자주 발생하는 '장염'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원인 장염이란 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병으로, 바이러스성 장염과 세균성 장염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것은 바이러스성 장염입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큰 문제 없이 회복이 가능하니 걱정하지 마세요. 증상 장염의 주요 증상으로는 구토, 설사, 열 등이 있습니다. 아이가 잘 안 먹거나 보채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심하게 토하거나 설사를 할 경우 탈수가 되어 입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처 방법 장염을 대처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올바르게 잘 먹이는 것입니다. 심한 장염이 아닌 경우에는 먹는 것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습니다. 모유 수유를 하.. 2024. 2. 16.
'울긋불긋', 아기 얼굴이 보여주는 신호 '울긋불긋' 아기 얼굴이 보여주는 신호들, 부모님들이 알아야 할 네 가지 이상징후 아기에게 이상 징후가 나타나면 모든 부모가 예민해지기 마련이죠. 그러나 아기들에게 쉽게 나타나는 대표 이상 징후들에 대해 제대로 숙지하고 있다면,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하나씩 알아볼까요? 태열 태열은 모체로부터 받은 열로 인해 생후 1~2개월쯤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양쪽 볼과 귀 뒤에 나타나는 태열은 처음에는 붉고 오톨도톨하다가 다시 좋아지고, 또 나타나는 등 반복성을 띠는 피부질환입니다. 잘 관리해주면 몇 달간 생겼다가 사라지지만, 지속적으로 관리해주는데도 불구하고 심해지거나 돌 이후까지 지속된다면 아토피 피부염일 확률이 높아요. 땀띠 생후 1~3개월에는 땀구멍이 발달하고 신진대사가 .. 2024. 2. 15.
아기의 녹변 증상,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아기의 '녹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아기들이 녹색 변을 볼 때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요 아기들의 변 색깔은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그 중에서도 녹색 변, 즉 '녹변'은 많은 부모님들을 걱정하게 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녹변을 본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기가 잘 먹고 잘 놀고 기분이 좋다면 대부분의 경우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녹변은 소화액인 담즙이 변에 남아 있는 것으로, 그 자체로는 문제가 없습니다. 물론, 녹색이 많은 음식을 먹었을 때에도 녹변을 볼 수 있습니다. 모유를 먹는 아기들의 경우, 전유를 먹었을 때 간혹 묽은 녹변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모유를 먹일 때 한쪽 젖을 충분히 비우는 것이.. 2024. 2. 14.
임신 4~7주 몸의 변화 임신 4~7주, 아기와 함께 변화하는 시기 태아의 성장과 변화 임신 4~7주에는 아기의 키는 약 2cm에서 4cm, 몸무게는 약 1g입니다. 아직 잘 보이지는 않지만, 이 시기에는 아기의 머리가 몸 전체의 1/3을 차지하고 눈의 색소 침착이 확실해집니다. 뇌, 신장, 심장 등 주요 장기들이 발달하면서 손가락, 발가락, 눈 등이 생기며, 성장하게 됩니다. 모체의 변화 임신 초기에는 월경 예정일에 월경이 없음으로 임신을 예상하게 됩니다. 이때 자궁의 크기는 레몬 정도가 됩니다. 입덧 증세가 생기며, 유방이 아프고 팽창되어 당기는 느낌이 듭니다. 소변 횟수도 잦아지고, 졸음과 초조함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아직까지 외형적인 변화가 없어서 임신 전의 옷을 입어도 불편함이 없으나, 복압을 높일 수 있는 너무 꼭 조.. 2024. 2. 13.
결핵 예방의 첫걸음, BCG(Bacillus Calmette-Guérin) 백신 BCG 접종, 결핵 예방의 첫걸음 아이들의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인 BCG 접종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BCG 접종은 결핵 예방에 사용되는 백신입니다. BCG 접종이 결핵을 완벽히 예방하는 것은 아니지만 결핵에 걸렸을 때, 심각한 결핵성 뇌막염이나 결핵균이 어린 아이들의 몸의 중요한 장기로 퍼지는 속립성 결핵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때문에 반드시 접종이 필요 합니다. 접종 스케줄 기본접종: 생후 4주 이내 추가접종: BCG 접종을 이미 받은 경우, 추가접종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접종 대상 모든 신생아와 BCG 접종을 받지 않은 아이들 BCG 접종을 받지 않고 외국에서 생활하다가 5세 이하의 아이가 귀국하는 경우 접종할 수 없는 경우 심한 피부질환, 영양장애, 발열 및 면역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 .. 2024. 2. 7.
탄생을 세상에 알리는 첫걸음, '출생신고' 살펴보기 출생신고, 탄생을 세상에 알리는 첫걸음 출생신고는 아이가 태어났음을 국가에 정식으로 신고하는 첫 절차입니다. 호적지나 현주소지의 읍, 면, 동사무소에 출생한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이 기간을 넘기면 과태료를 내야 하므로 반드시 기간 내에 신고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필요한 서류 그렇다면 출생신고를 위해 어떤 서류들이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1. 출생증명서: 아이의 출생을 증명하는 서류로 병원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2. 자녀의 출생 당시 엄마가 한국인임을 증명하는 서면: 이는 국적 등록을 위해 필요한 서류 입니다. 3. 자녀가 이중 국적자인 경우 취득한 국적을 소명하는 자료: 국적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해 필요합니다. 4. 신분 확인: 신고인이 출석한 경우에는 신분증명서, 제출.. 2024. 2. 6.